CYBER PR
  • NEWS&NOTICE
  • 공고사항
  • 보도자료
  • 갤러리

Home > CYBER PR > 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레고켐바이오 다제내성 결핵 항생제 임상 2상 진입
이름 : 최고관리자 | 작성일 : 2016.05.30 18:17 | 조회수 : 11384

 레고켐바이오 다제내성 결핵 항생제 임상 2상 진입

- 희귀의약품 지정 신청을 통한 임상 2상 후 조기상업화 추진 예정 -

- 기존치료제 대비 약효 동등이상, 안전성 측면의 차별적 장점 예상 -

 

 

대전 - 20165 26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레고켐바이오) 5 25 식약처로부터 LCB01-0371(옥사졸리디논계 항생제) 임상 2 시험 승인을 받았다.

 

201410월 식약처의 조기 상업화 지원 프로그램인 팜 나비에 선정된 LCB01-371은 기존 옥사졸리디논(Oxazolidinone) 계열 의약품 대비 안전성 측면에서 차별적인 장점을 가진 신약 후보물질이다. 해당 후보물질은 전임상에서 결핵균을 비롯한 다양한 임상균주들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하였고 임상 1 시험을 통해 안전성 측면의 장점을 입증하였다. 레고켐바이오는 LCB01-0371 고유의 차별적 장점을 바탕으로 장기복용이 필요한 다제내성결핵을 적응증으로 개발을 추진 중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우선적으로 이번 식약처에서 승인받은 임상 2상을 통해 70여명의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2 투여 시의 초기약효(Early Bactericidal Activity: EBA)를 대조약물과 비교 확인할 계획이다. 이번 시험을 통해 최소 동등 이상의 약효를 확인 후 LCB01-0371 고유의 차별적 장점인 장기복용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다제내성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복용이 가능한 수퍼항생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결핵은 현재, 전염성 질환 중 사망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질환이다. 결핵에 있어 가장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은 2개 이상의 기존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이다. WHO(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2014년 발생한 신규 다재내성 결핵 환자수는 48만명으로 총 신규 결핵 환자수의 5%에 해당하였지만 이중 19만명이 사망하여 약 40%에 달하는 사망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우리나라에서도 결핵은 매우 심각한 질환으로 2014년 기준으로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결핵 발병률을 기록한 바 있다 (2위 포루투갈, 3위 폴란드)

 

글로벌 시장에서 다제내성 결핵 분야의 ‘Medical Unmet Needs’가 큰 만큼 미국, 유럽 등을 포함한 선진국 규제기관들은 개발 초기단계에서의 연구개발비 지원 및 상업화 단계에서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한 임상2상 이후 조기 승인 또는 허가 서류 검토 기간의 단축 등 항생제 후보물질의 개발에서부터 허가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개발 장려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국 또한 201512월 희귀질환 관리법이 입법화되면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적극 장력하고 있다.

 

레고켐바이오의 김용주 대표이사는 다제내성 결핵 분야의 문제가 심각한 만큼 국내에서는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해 임상 2상 후 조기 상업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다제내성 결핵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을 포함한 해외제약사 또는 국제기금 등과 공동개발 또는 기술이전을 적극 검토 중이다.” 라고 밝히며 합성의약품의 경우 임상2상 단계에서 글로벌 기술이전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바, 향후 글로벌 기술이전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 라고 전망하였다.  

 

2006오직 신약 만이 살 길이라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설립하여, 지난 10년간 글로벌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레고켐바이오는 자체적인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ADC, 항생제 등의 분야에서 가시적인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

 


IP : 106.243.208.***
QRcode
첨부파일
%s1 / %s2
 
List Gallery Webzine RSS FEED

번호 파일 제목 이름 작성일 조회수
154 docx 최고관리자 2016.08.24 8,994
153 blank 최고관리자 2016.07.09 10,598
152 docx 최고관리자 2016.07.06 10,821
151 blank 최고관리자 2016.06.08 11,644
150 blank 최고관리자 2016.06.01 12,066
docx 최고관리자 2016.05.30 11,385
148 docx 최고관리자 2016.05.24 12,206
147 blank 최고관리자 2016.05.03 12,463
146 blank 최고관리자 2016.01.09 14,706
145 blank 최고관리자 2016.01.09 14,325
144 blank 최고관리자 2016.01.09 17,840
143 blank 최고관리자 2016.01.09 18,135
142 docx 최고관리자 2015.11.16 18,603
141 docx 최고관리자 2015.11.13 19,661
140 docx 최고관리자 2015.11.11 18,790
139 docx 최고관리자 2015.11.09 18,649
138 docx 최고관리자 2015.10.29 19,502
137 blank 최고관리자 2015.10.29 19,297
136 blank 최고관리자 2015.10.29 19,586
135 blank 최고관리자 2015.10.29 19,354